청년도약계좌 출시가 한 달 정도 남았는데요. 당초 설계된 상품 초안에 비해 조금씩 수정되면서 가입해야 될지 말아야 될지 고민이 많이 되시죠? 오늘은 청년도약계좌 달라진 점, 아쉬운 이유 3가지와 마지막 결론까지 함께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한눈에 보는 청년도약계좌
1) 구성
6월 말 출시 예정이며 납입한 금액에 비례해 일정 비율의 정부 기여금을 지원해 줘요. 이자소득에 대해서는 비과세 혜택을 적용해 주며 만기 5년 동안 매월 70만 원 한도 내에서 자유롭게 납입할 수 있어요.
2) 가입 대상
- 연령 조건 : 만 19 ~ 34세 청년
- 개인 소득
- 6,000만 원 이하인 청년 -> 정부 기여금과 비과세 혜택 적용 가능
- 6,000만 원 ~ 7,500만 원 -> 정부 기여금은 받을 수 없으며 비과세 혜택만 적용 가능
- 가구 소득 : 중위 180% 이하인 청년
3) 금리
확정된 금리는 아직 발표 전이며 3년간 고정금리 후 2년간 변동금리를 적용할 예정이에요.
4) 개인소득 별 기여금 지급 구조
개인 소득 | 납입 한도 | 기여금 지급 한도 | 기여금 비율 | 기여금 최대 한도 |
2,400만 원 이하 | 최대 70만 원 | 월 40만 원 | 6.0% | 월 2.4만 원 |
3,600만 원 이하 | 월 50만 원 | 4.6% | 월 2.3만 원 | |
4,800만 원 이하 | 월 60만 원 | 3.7% | 월 2.2만 원 | |
6,000만 원 이하 | 월 70만 원 | 3.0% | 월 2.1만 원 | |
7,500만 원 이하 | 없음 (비과세 혜택만 적용 가능) |
5) 청년도약계좌 자세히 보기 및 청년희망적금과 차이점
좀 더 자세히 보길 희망하시는 분 및 청년희망적금과의 차이점이 궁금하신 분들이라면 아래의 링크에서 확인해 주세요.
- 2023년 청년도약계좌 혜택, 조건, 신청방법, 이율, 다른 상품 중복여부 총정리(4월 29일 최신화)
2023년 청년도약계좌 혜택, 조건, 신청방법, 이율, 다른 상품 중복여부 총정리(4월 29일 최신화)
- 청년도약계좌란? 청년도약계좌는 생활 및 주거 안정에 어려움을 겪는 청년들을 위해 정부가 마련한 상품으로 상품 가입자가 내는 금액과 정부의 지원금을 합쳐 매달 최대 월 70만 원씩 납입 시
82daily-economy.tistory.com
2. 초기에 비해 무엇이 달라졌을까?
청년도약계좌는 작년에 처음 등장했는데요. 대통령 대선 공약 중 하나로 제시된 상품으로 최대 10년 동안 매월 30만 ~ 60만 원을 저축하면 정부의 10만 ~ 40만 원의 지원금을 더해 1억을 만들 수 있는 통장이었어요.
하지만 출시가 임박한 지금 논의 과정에서 재원 마련과 비용 부담 등의 이유로 당초 공약과는 많이 달라진 내용으로 출시가 결정됐어요.
우선 만기는 10년에서 5년으로 대폭 줄어들었어요. 만기를 줄이면서 가입 대상을 늘리기로 하면서 당초 공약했던 지원금 또한 최대 6%로 변경됐어요.
다행스러운 점은 당초 청년희망적금과 중복 가입이 불가했었지만 최대한 자산 형성을 지원받을 수 있도록, 유사 상품과 동시 또는 순차적으로 가입이 가능하도록 변경되었어요.
- 청년내일저축계좌, 복지 목적의 지자체 지원 상품은 동시 가입을 허용해요.
- 청년(재직자)내일채움공제, 고용 지원 목적의 지자체 지원 상품은 동시 가입을 허용해요.
- 청년도약계좌와 사업목적이 유사한 청년희망적금은 청년도약계좌에 순차 가입 가능해요. 만기 후 가입
3. 이대로면 생각보다 아쉬운 상품인데?
1) 대폭 줄어든 지원금
출시까지 조금씩 수정되면서 당초 통 큰 지원금과 함께 1억 통장으로 만들어 주겠다던 정부의 공약이 무색해졌다는 비판이 나오고 있어요. 지원금이 매칭 비율 최대 6%로 바뀌게 되면서 대폭 줄어들어든 점이 가장 아쉽다고 생각해요.
2) 금리는 아직 미지수?
현재까지 알려진 청년도약계좌의 금리는 3년간 고정금리 이후 남은 기간 동안 변동금리가 적용된다고 해요. 구체적인 금리는 아직 정해지지 않았어요.
금리가 최소 6.9% 수준은 되어야 매월 70만 원씩 납입 시 만기가 도래하면 5,000만 원을 수령할 수 있는데 최근 금리가 조금씩 적어지는 추세 속에서 과연 높은 금리가 적용될지가 미지수라고 보여요.
3) 기간과 납입 한도는 괜찮을까?
일각에서는 젊은이들을 대상으로 하는 상품에 비해 기간과 최대 납입 한도의 조건이 까다로울 수 있다고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어요. 앞서 출시된 청년희망적금만 봐도 파격적인 금리 혜택으로 약 300만 명 가까이 가입자가 몰렸다고 해요.
하지만 6개월 만에 30만 명 이상이 중도 해지했다고 하는데요. 중도 해지 시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없다는 가장 큰 페널티가 있어요. 앞서 언급한 대로 만기 시 5,000만 원을 수령하기 위해서는 매달 70만 원씩 5년간 납입해야 하는데 만기까지 어려움이 있지 않을까 생각해요.
4. 결론은 본인의 상황에 맞게 신중히 결정하자.
청년도약계좌는 어찌 됐든 정부에서 청년들의 중장기적인 자산 형성을 돕기 위한 취지로 나오는 상품이기 때문에 좋은 상품임에는 틀림없어요. 하지만 5년이라는 긴 시간 동안 매달 커다란 목돈이 묶이는 것이기 때문에 신중하게 가입 여부를 결정하시길 당부드려요.
현재 본인의 수입과 지출 내역들을 꼼꼼히 계산하셔서 만기까지 완납할 수 있는지를 꼭 체크하셔야 돼요. 또한 5년 동안 자신의 또 다른 포트폴리오 목록을 만들 수 있는 기회비용을 투자하는 것임을 고려하셔야 돼요.
정부에서는 만기까지의 계좌 유지 여부가 중요한 성과 중에 하나로 보고 있기 때문에 가입한 청년들이 만기까지 계좌를 유지할 수 있는 다양한 방안을 모색할 예정이라고 해요.
출시까지 약 한 달 정도 남았는데요. 어떻게 상품이 확정되는지와 어떤 지원 방안들이 나오는지 여부를 확인하시고 본인의 상황에 맞게 가입하실지 말지 결정하시기를 추천드려요.
오늘은 2023 청년도약계좌 조건, 달라진 점, 결론까지 함께 알아봤어요. 출시가 확정되는 대로 추가로 포스팅할 예정이니까 다음 포스팅도 기대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함께보면 좋은 글 - 2023 스타벅스 썸머 프리퀀시 참여하면 이걸 준다고요? 기간부터 방법까지 알려드려요
2023 스타벅스 썸머 프리퀀시 참여하면 이걸 준다고요? 기간부터 방법까지 알려드려요
스타벅스에서 올해도 썸머 프리퀀시 행사를 진행한다고 해요. 올해는 사이드 테이블 3종과 팬 앤 플레이트 2종을 사은품으로 증정한다고 하네요. 오늘은 썸머 프리퀀시 행사에 대해서 행사 기간
82daily-economy.tistory.com
- 초단기 적금 들려고 싹 다 찾아보고 직접 고른 5개 상품 비교해 보기!
초단기 적금 들려고 싹 다 찾아보고 직접 고른 5개 상품 비교해 보기!
초단기 적금이 최근 잇달아 출시되고 있어요. 2030세대를 겨냥한 초단기 적금은 불확실한 투자자산으로 옮기기 애매한 여유자금을 단기간에 관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요. 저도 가입하려고
82daily-economy.tistory.com
댓글